고객상담창구에 올라와 있는 질문중 자주있는 질문을 FAQ로 모아놓았습니다.
문의전 한번 확인해주세요.

멀티 코팅은 몇도까지 버틸 수 있나요?

유리 렌즈인 경우에는 300℃이상도 괜찮습니다.

플라스틱 렌즈의 경우에는 60℃정도 까지는 괜찮습니다.

다만, 고온다습한 장소에서 장시간 방치 하는 것은 피해주세요.

고온실에서 작업에 적합한 렌즈는?

유리렌즈, 플라스틱 렌즈 중 어느게 적합하냐? 라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유리렌즈가 적합합니다.

선택한 경우에는 코팅 없이는 “1.50구면”, 하드멀티 코팅이 있으면 “1.60”비구면을 추천 드립니다.

냉동고에 출입하는 사람의 안경은 유리, 플라스틱 렌즈 중 어느게 좋나요?

온도차에 의하여 렌즈가 흐려지고, 물방울이 맺히는 환경에 노출되어집니다.

멀티코팅의 내구성이 있으면 유리렌즈 쪽이 우월함니다.

하지만 유리렌즈는 일단 차가워지면 실온으로 돌아오지 않아 플라스틱 렌즈보다 오랫동안 흐려져있는 난점이 있습니다.

이것을 고려하여 업무용으로 사용할 거면 플라스틱렌즈의 하드코팅만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플라스틱렌즈의 노코팅의 내열성은 어느정도 인가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내열성은 Tg(유리전이온도)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Tg에 관하여 이미지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플라스틱에 열을 서서히 가하면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플라스틱이 변형을 시작합니다. 그 온도를 Tg라고 말합니다.

TOKAI에서 취급하고 있는 Tg는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70℃~124℃정도 입니다.

편광렌즈는 수분에 약한가요?

폴리비닐알콜이라는 소재를 염색하여 막과막 사이에 이것을 렌즈에 섞어 편광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이 소재는 물에 약하여 물에 젖으면 흐물거려 편광의 효과를 내지 못하게됨니다.

TOKAI의 공장에서는 편광렌즈의 재료를 보호하는 방에 소중하게 보관하고 있습니다.

편광렌즈의 소재는 예민하다고 이해해주세요.

플라스틱 변색렌즈가 반응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왜 그런가요?

변색기능이 사라지는 이유로 추정되는 것은 변색반응의 되풀이되는 분자간 피로, 열이나 자외선에 의한 열화, 산소와 산화에 의한 열화 외관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작은 기스로부터 수분등이 침투하는 것 등의 요인이 복합으로 발생하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차광안경은 왜 콘트라스트가 높게 되나요?

콘트라스트는 명암이나 빛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차광안경은 에너지량이 큰 단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그외의 파장을 투과 시킵니다.

그로인해 눈부심의 원인이 되는 단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것으로 그외의 파장 빛의 강약이 분별하기 쉬워져 “콘트라스트가 높음” 상태가 됩니다.

「CCP400AC(노랑)」은 왜 밝게 되나요?

CCP400 AC는 단파장(청색계)만을 흡수하여 그외의 파장을 투과 시킵니다.

그로인하여 눈부심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일반 선글라스(각 파장을 전체적으로 흡수 해버림)와 비교하였을때 CCP400 AC는 밝게 느껴지게 됩니다.

(주의) CCP400 AC를 착용함으로 밝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감광목적의 일반 선글라스 등과 비교 하였을때 밝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CCP400」의「TS」「NA」「AC」는 야간에도 효과가 있다는게 사실인가요?

야간은 채도가 낮아서 파장의존이 낮과 비교 하였을 때 낮은 상황이 됩니다. 야간에 반대차선의 헤드라이트의 눈부심을 막아주는 것을 전제로 전반적인 빛을 흡수하는 일반 선글라스와 비교하면 단파장만 흡수하여 그 외의 파장을 투과시키는 CCP렌즈가 사물을 분별하기 쉽습니다.

(주의) 개인차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